병점동부동산
“저렴하면서 괜찮은 품질” 인식에고물가 시대 ‘가성비’로 소비자 잡아자영업자들 “상권 흡수해 생존권 위협”“지나친 기업화, 규제 필요” 지적도“이러다 아파트도 팔고 자동차도 팔겠네.”다이소가 기모 후드티와 긴팔티셔츠 등 의류 판매에도 나섰다는 한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에 붙은 댓글이다. ‘천원의 행복’을 내걸고 물티슈와 종이컵 등을 판매하는 균일가 생활용품점으로 시작해 최근 화장품과 건강기능식품(건기식)까지 선보이며 새로운 ‘유통공룡’으로 등극한 다이소의 명암을 극명하게 나타내는 한마디이기도 하다.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달 중 발표되는 다이소의 지난해 매출은 4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매출은 3조4605억원, 영업이익은 261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보다 각각 18%, 9% 증가한 수치다.매출 증가폭도 가팔라지고 있다. 다이소는 1997년 서울 천호동에 둥지를 튼 뒤 18년 만인 2015년 매출 1조원을 넘어섰다. 이후 2022년 매출 2조9458억원을 기록, 1년 만에 3조원대를 기록하더니 또다시 1년만에 매출 앞자릿수를 바꾸는 것이다.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전통 유통채널들이 전자상거래(e커머스) 공세에 밀려 실적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데다 잇따라 유동성 위기에 몰린 홈플러스와 티메프(티몬·위메프)와 비교하면 다이소의 건재함은 괄목할 만하다.외형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다이소 매장은 2023년 기준으로 전국에 1519곳이나 된다. 10년 전보다 549곳(56%) 늘면서 소비자 접근성도 좋아진 것이다. 매장도 대형화 추세다. 지난해 말 부산 프리미엄 아울렛에 1320㎡(약 400평) 규모로 입점한 데 이어 경기 평택 고덕브리티시에도 2644㎡(약 801평) 규모의 초대형 다이소 매장이 문을 열었다.성장 동력은 무엇보다 ‘가성비’다. 다이소 취급 상품은 3만여종에 달하지만 가격은 500원부터 1000원, 1500원, 2000원, 3000원, 5000원 등 6가지 균일가에 맞춰져 있다. ‘싼 게 비지떡’이라는 불명예를 불식시키고 소비자들에게 ‘저렴하면서도 생각보다 괜찮은 품질’이라는 신뢰를 심어준 것이 주효했다는 게 유통업계 안팎의 대체적인 평가다.다이소 창업주 박정부 회장도 “저렴하면서 괜찮은 품질” 인식에고물가 시대 ‘가성비’로 소비자 잡아자영업자들 “상권 흡수해 생존권 위협”“지나친 기업화, 규제 필요” 지적도“이러다 아파트도 팔고 자동차도 팔겠네.”다이소가 기모 후드티와 긴팔티셔츠 등 의류 판매에도 나섰다는 한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에 붙은 댓글이다. ‘천원의 행복’을 내걸고 물티슈와 종이컵 등을 판매하는 균일가 생활용품점으로 시작해 최근 화장품과 건강기능식품(건기식)까지 선보이며 새로운 ‘유통공룡’으로 등극한 다이소의 명암을 극명하게 나타내는 한마디이기도 하다.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달 중 발표되는 다이소의 지난해 매출은 4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매출은 3조4605억원, 영업이익은 261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보다 각각 18%, 9% 증가한 수치다.매출 증가폭도 가팔라지고 있다. 다이소는 1997년 서울 천호동에 둥지를 튼 뒤 18년 만인 2015년 매출 1조원을 넘어섰다. 이후 2022년 매출 2조9458억원을 기록, 1년 만에 3조원대를 기록하더니 또다시 1년만에 매출 앞자릿수를 바꾸는 것이다.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전통 유통채널들이 전자상거래(e커머스) 공세에 밀려 실적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데다 잇따라 유동성 위기에 몰린 홈플러스와 티메프(티몬·위메프)와 비교하면 다이소의 건재함은 괄목할 만하다.외형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다이소 매장은 2023년 기준으로 전국에 1519곳이나 된다. 10년 전보다 549곳(56%) 늘면서 소비자 접근성도 좋아진 것이다. 매장도 대형화 추세다. 지난해 말 부산 프리미엄 아울렛에 1320㎡(약 400평) 규모로 입점한 데 이어 경기 평택 고덕브리티시에도 2644㎡(약 801평) 규모의 초대형 다이소 매장이 문을 열었다.성장 동력은 무엇보다 ‘가성비’다. 다이소 취급 상품은 3만여종에 달하지만 가격은 500원부터 1000원, 1500원, 2000원, 3000원, 5000원 등 6가지 균일가에 맞춰져 있다. ‘싼 게 비지떡’이라는 불명예를 불식시키고 소비자들에게 ‘저렴하면서도 생각보다 괜찮은 품질
병점동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