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 앵커 ▶시간당 백mm가
[뉴스데스크]◀ 앵커 ▶시간당 백mm가 넘는 극한호우에 주요 하천들이 잇따라 범람하면서 도시와 농촌이 모두 물에 잠겼습니다.수위가 급격히 차오른 댐에서 방류까지 시작되면, 추가 피해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이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교량 위 난간을 넘나들던 하천이 도로 위 차량들을 덮칩니다.들판 전체가 물에 잠겨 소들은 오도가도 못합니다.충남 서해안을 중심으로 시간당 1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인근 하천이 범람한 겁니다.[김풍환/충남 당진시 채운동] "골목 전부 (물이) 찼었지. 여기서 이게 범람해서 이게 역류해서, 지하로 물 들어와서‥"충남 예산 삽교천 수위는 한때 홍수경보 기준보다 2m나 높은 9.5m까지 치솟았고, 당진 채운교 수위도 홍수경보 기준인 6.5m를 넘어 7.5m까지 차올랐습니다.이렇게 하천이 감당하지 못한 빗물은 마을과 도심을 집어삼켰습니다.하천 수위가 제방 턱 끝까지 차오르면서 일대 논과 밭을 비롯해 주택까지 물에 잠겼습니다.밤사이 하천 주변 마을 주민 9백여 명은 급히 몸만 빠져나와 학교 등지에 마련된 대피소에서 불안한 하루를 보냈습니다.[김옥분/충남 당진시 용현동] "(예전에) 우리는 하나도 (물이) 안 찼었어요. 그런데 올해는 그렇게 차 가지고 안방에 옷방에, 부엌에, 거실에 다 물이 다 들어오는 거예요."하천을 넘어선 빗물은 대피소 등으로도 활용되는 학교마저 물바다로 만들면서, 충남 학교 5백여 곳에 휴교령이 내려졌습니다.[박천세/충남 당진정보고 교감] "무릎까지 찼어요. 그래서 책상 한 이 정도까지 다 해가지고 많은 것들이 침수가 됐습니다."전문가들은 현재 지방 하천들이 100년 만에 한 번 있을 극한호우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지적합니다.[장창래/한국수자원학회 대전세종충청지회장] "소하천이나 지방 하천은 설계 홍수량이 50년에서 80년 빈도로 설계되기 때문에 제방이 범람하거나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충남에 모레까지 최대 300mm 이상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불어난 금강 물을 감당하기 어려운 공주보, 백제보, 보령댐 등이 긴급 방류를 시작하면서, 중하류 지역의 추가 범람 위험은 계속될 전망입니다.MBC뉴스 이혜현입니다.영상취재: 양철규(대전) / 영상제공: 당진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 기울어진 옹벽… 개선 제자리걸음 “비 많이 오는 날, 혹시 사고날라” 간석동 내 아파트·빌라 인근 불안 일부 정비 필요하지만 공사 지연 17일 오후 인천시 남동구 간석동의 한 아파트 옹벽이 기울어진 가운데 ‘위험등급 D등급을 받은 옹벽’이라고 쓰인 현수막이 붙어있다. 2025.7.17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비가 올 때마다 무너지진 않을까 불안하죠.” 17일 오전 10시50분께 찾은 인천 남동구 간석동 한 아파트. 높이 약 10m에 달하는 옹벽이 아파트를 향해 기울어진 모습이 한눈에 보였다. 일부 주민들이 걸어놓은 현수막에는 ‘위험등급 D등급을 받은 옹벽’이라고 쓰여 있었다.전날 오후 5시부터 인천에 호우주의보가 발효되며 많은 비가 내리자 이곳 주민들은 혹시라도 옹벽이 무너질까 불안했다고 한다. 이 아파트는 주택정비사업을 앞두고 조합 내 갈등으로 옹벽 보수 등은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20년째 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60대 주민 A씨는 “워낙 지어진 지 오래된 아파트라 그러려니 했는데 몇해 전부터 금도 생기고 눈에 띄게 옹벽이 기울어졌다”며 “아파트 앞에 주차를 하려면 옹벽을 지나야만 하는 구조라 어제같이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혹시라도 누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할까 두려웠다”고 했다. 간석동 빌라의 옹벽에 금이 간 모습. 남동구 안전총괄과 관계자는 “빌라 옹벽 정비 공사는 주민들과 협의 과정이 필요해 지연되고 있다”고 했다. 2025.7.17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전날 오후 7시 4분께 경기 오산시 고가도로 옹벽이 붕괴되면서 차량을 덮쳐 1명이 사망하는 등 전국에서 비 피해가 잇따랐다. 인천시는 같은 날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꾸리고 붕괴 위험이 있는 해당 아파트 옹벽을 포함해 인명피해우려지역을 살펴보기도 했다.이 아파트 뿐 아니라 도보로 10분 거리에 위치한 한 빌라 뒤편 옹벽도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빌라 주민들은 비가 올 때마다 불안하다고 호소했다.특히 이 옹벽은 빌라 출입구와 가까워 주민들의 불안감이 컸다.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을 알리는 노란 표지판이 설치
[뉴스데스크]◀ 앵커 ▶시간당 백mm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