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 구매문의

하나몰 로고

체험교실 신청하기

  • 찾아가는 체험교실
  • 체험교실 신청하기
제목 김진우 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뮬러글리아' 세포
등록일 2025-03-30 조회수 1
김진우 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뮬러글리아' 세포 김진우 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뮬러글리아' 세포 이용한 망막 재생 기술 교원창업기업 '셀리아즈'서 치료제 개발 중이은정 KAIST 생명과학과 박사, 김진우 생명과학과 교수, 김무성 박사과정 학생 (오른쪽부터) /사진=KAIST포유류에게 없던 '세포 재생' 기능을 되살려 손상된 시력을 되돌릴 수 있는 원천 기술이 우리나라에서 처음 개발됐다.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치료제 검증을 마쳤다. 임상시험에는 2028년 착수할 계획이다. KAIST(카이스트)는 김진우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망막 신경을 재생해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미 손상된 시력까지 회복할 수 있는 실효적 치료제는 지금까지 없었다. 망막 재생을 억제하는 '프록스1(PROX1)' 단백질을 차단해 망막 조직 신경이 재생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포유류의 망막에서 6개월 이상 효과가 지속되도록 한 게 이번 연구 성과의 핵심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26일 발표됐다. 망막 재생에 대한 기본 연구는 재생이 활발한 어류 등 변온동물을 통해 이뤄져 왔다. 변온동물 망막 내부에 존재하는 '뮬러글리아(Muller glia)'라는 세포는 망막이 손상되면 신경전구세포로 역분화한 후 새로운 신경세포를 생성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데, 인간과 같은 포유류에는 이같은 기능이 없다. 이 때문에 인간의 망막은 재생되지 않고 영구히 손상된 채로 남는다. 김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포유류 뮬러글리아 세포의 역분화를 억제하는 인자가 '프록스1' 단백질임을 확인했다. 프록스1은 망막과 해마, 척추 등 신경 조직 내 신경세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이다. 신경줄기세포의 분열을 억제하고 신경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다.연구팀은 프록스1 단백질이 손상된 생쥐 망막 내 뮬러글리아에는 축적되지만, 재생이 활발한 어류의 뮬러글리아에는 축적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뮬러글리아에 있는 프록스1은 내부에서 생성된 게 아닌 주변 신경세포가 분해하지 못하고 분비한 것을 뮬러글리아가 수용한 것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프록스1 이동을 억제해 망막재생 유도하는 메커니즘을 그린 모식도 /사진=KAIST이에 착안해 연구팀은 신경세포에서 분비된 프록스1이 뮬러글리아로 도달하기 전 세포 외부에서부터 제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뮬러글리아의 기능을 억제하는 프록스1이 도달하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뮬러글리아의 원기능인 세포 재생능력이 활성화된다. 이를 통해 포유류에서도 세포를 통한 망막 재생 기능을 구현할 수

네이버상단작업업체 네이버매크로 상위노출 사이트 서울대입구 맛집 쿠팡퀵플렉스주간 구글상단작업 쿠팡퀵플렉스야간 구글상위노출 개포동부동산 네이버마케팅 네이버마케팅프로그램 네이버플레이스트래픽 네이버상단노출 상위노출 강남구청 맛집 웹사이트상위노출 사이트상위노출 웹SEO 홈페이지상위노출 디시자동댓글 네이버상위노출 네이버상단작업

김진우 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뮬러글리아' 세포

CALL CENTER

BANK INFO

상호명 : 하나대표자 : 홍성용사업자 등록번호 : 683-30-00189 [사업자정보확인]
주소 : 경기도 광주시 경충대로1897통신판매업신고 : 제2016-경기광주-0148호
TEL : 031) 761-2811FAX : 031) 765-5404E-mail : hanacpr@naver.com
의료기기판매신고 : 제2016-5540016-00008호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홍성용
Copyright © 2016 HANA All Rights Reserved.
청소년티움통합센터
KCP 구매안전(에스크로)서비스
장바구니
위시리스트
최근본상품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