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 겪은 한국교회, ‘탄핵 후유증’ 어떻게 극복할까탄핵 정국을 지나온 한국교회는 극한 진영 대립으로 적지 않은 내홍을 겪었다. 우리가 앞으로 가질 태도는 서로 다름을 인정하며 화합해 하나님만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함께 나아가는 것이다. 그림은 상반된 색의 옷을 입은 서로 다른 모습의 성도들이 같은 성가대에서 함께 찬양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그래픽=강소연“저는 OO교회에 좌파 목사가 한 명도 남지 않을 때까지 싸울 것입니다. 여러분들은 자기가 속한 교회에서 계속 싸워 주십시오.” 구독자 수 10만명인 한 기독 유튜버는 최근 인천의 한 교회 담임인 A목사 등 교역자와 장로를 ‘공산주의자’라고 저격했다. 이 교회 소모임의 한 리더가 교역자에 제기한 관련 문제에 별다른 해명이 없었고, 자신이 탈퇴한 소모임 SNS 단체방에 재가입이 안 된다는 것을 문제 삼아 유튜버에게 한 제보가 근거였다. 이 영상에 달린 800개에 가까운 댓글은 찬반으로 나뉘어 감정싸움으로 이어졌다.지난해 연말부터 이어진 탄핵 정국이 지난 4일 헌법재판관 8명 전원일치 탄핵 인용으로 막을 내렸지만 그간의 갈등에 따른 교회 내 상처는 아직 아물지 않았다. 온라인상에서 A목사와 관련한 영상처럼 다른 견해를 가진 상대를 적으로 만드는 행태는 여전히 포착되고, 교회 성도들이 서로 반목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안팎의 갈등과 흔듦 속에서도 중심을 잡고 성도들을 다독이며 걸어온 교회들도 있다. 조기 대선으로 당분간 비슷한 갈등이 반복될 가능성이 큰 가운데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 안의 다름을 인정하고 함께 걸어갈 지혜를 찾아본다.음해 시달렸던 목사들 “성도 떠나기도”국내 한 교단의 고위 관계자는 최근 기자와 만나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을 가진 이들이 주일에 같은 예배당에 앉아 같은 찬송가를 부르고 있다”며 “목사에게 ‘대체 어느 편이냐’고 질문하고 답하길 강요하는 성도도 적지 않다. 목회하기 어렵다는 푸념이 상당하다”고 걱정했다. 목회자들이 가장 곤혹스러워하는 것은 밑도 끝도 없는 음해성 공격이다. 일부 교계 인사분열 겪은 한국교회, ‘탄핵 후유증’ 어떻게 극복할까탄핵 정국을 지나온 한국교회는 극한 진영 대립으로 적지 않은 내홍을 겪었다. 우리가 앞으로 가질 태도는 서로 다름을 인정하며 화합해 하나님만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함께 나아가는 것이다. 그림은 상반된 색의 옷을 입은 서로 다른 모습의 성도들이 같은 성가대에서 함께 찬양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그래픽=강소연“저는 OO교회에 좌파 목사가 한 명도 남지 않을 때까지 싸울 것입니다. 여러분들은 자기가 속한 교회에서 계속 싸워 주십시오.” 구독자 수 10만명인 한 기독 유튜버는 최근 인천의 한 교회 담임인 A목사 등 교역자와 장로를 ‘공산주의자’라고 저격했다. 이 교회 소모임의 한 리더가 교역자에 제기한 관련 문제에 별다른 해명이 없었고, 자신이 탈퇴한 소모임 SNS 단체방에 재가입이 안 된다는 것을 문제 삼아 유튜버에게 한 제보가 근거였다. 이 영상에 달린 800개에 가까운 댓글은 찬반으로 나뉘어 감정싸움으로 이어졌다.지난해 연말부터 이어진 탄핵 정국이 지난 4일 헌법재판관 8명 전원일치 탄핵 인용으로 막을 내렸지만 그간의 갈등에 따른 교회 내 상처는 아직 아물지 않았다. 온라인상에서 A목사와 관련한 영상처럼 다른 견해를 가진 상대를 적으로 만드는 행태는 여전히 포착되고, 교회 성도들이 서로 반목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안팎의 갈등과 흔듦 속에서도 중심을 잡고 성도들을 다독이며 걸어온 교회들도 있다. 조기 대선으로 당분간 비슷한 갈등이 반복될 가능성이 큰 가운데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 안의 다름을 인정하고 함께 걸어갈 지혜를 찾아본다.음해 시달렸던 목사들 “성도 떠나기도”국내 한 교단의 고위 관계자는 최근 기자와 만나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을 가진 이들이 주일에 같은 예배당에 앉아 같은 찬송가를 부르고 있다”며 “목사에게 ‘대체 어느 편이냐’고 질문하고 답하길 강요하는 성도도 적지 않다. 목회하기 어렵다는 푸념이 상당하다”고 걱정했다. 목회자들이 가장 곤혹스러워하는 것은 밑도 끝도 없는 음해성 공격이다. 일부 교계 인사가 주도하는 탄핵 반대 집회를 ‘반대한다’는 식의 비난을 받는 게 대표적이다. 일부 발언을 곡해하거나 하지 않은 말이 퍼지기도 했다.에스겔선교회의 김동호 목사는 헌법재판소(헌재) 탄핵 심판 선고 이전인 지난달 25일 국론 분열을 걱정하는 글을 SNS에 올렸다가 논란에 휩싸였다. ‘이번 탄핵 정국과 관련해 정치적 입장을 밝히지 않겠다’는 취지의 말 때문이었다. 김 목사는 “요즘 시국처럼 국론이 양쪽으로 팽팽하게 갈려 있는 때에는 말을 해도 말을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