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이미지로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국내 홍역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해외감염 비중이 압도적이어서 해외 여행객의 주의가 필요하다. 1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5일까지 국내 홍역 환자는 총 3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8명) 대비 94.4% 증가한 수치다. 전체 환자 35명 중 23명(67.7%)이 해외에서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해외감염자 23명 중 22명은 베트남, 1명은 우즈베키스탄 여행 중 감염됐다. 나머지 12명(34.3%)도 가정이나 의료기관에서 해외 유입 환자와 접촉해 2차 감염된 사례다. 연령대는 19세 이상 성인이 25명(71.4%)으로 주를 이뤘다. 감염자 중 23명(65.7%)은 홍역 백신 접종력이 없거나 확인불가 상태였다. 홍역은 공기 전파로 감염되는 2급 법정 감염병이다. 전염성이 극히 강해 면역력 없는 사람이 접촉 시 90% 이상 감염된다. 발열·발진, 구강 내 회백색 반점 등이 주요 증상이다. 최근 유럽·중동·아프리카 중심으로 전 세계 홍역 유행이 확산 중이다. 아시아에서도 캄보디아(544명), 중국(539명), 베트남·필리핀(각 144명) 등 환자가 속출했다. 한국은 WHO 인증 홍역 퇴치국이지만 해외유입 사례는 2023년 8명, 2024년 49명으로 지속 발생중이다. 질병청은 "당분간 해외유입 홍역이 지속될 것"이라며 "홍역 유행국 방문 시 백신 접종력 확인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특히 1세 미만 영유아는 합병증 위험이 높아 홍역 유행국 방문 자제를 권고했다. 불가피한 경우 출국 전 접종 완료가 필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홍역 유행국 방문 시 출국 최소 6주 전부터 MMR 백신 2회 접종(최소 4주 간격)을 완료해야하며, 여행 후 발열·발진 증상 발현 시 즉시 의료기관에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받을 것"을 당부했다. 이서현 기자 sunshine@kyeonggi.com “여기(밀라노 기사식당) 밖에 없는 특이점이 필요했어요. 오직 여기서만 접할 수 있는 음식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사람입니다. 음식만 판다는 것이 아니라 사람으로서 어떻게 대하는지가 중요합니다.음식과 문화가 있는 공간, 사람에 대한 존중이 있는 공간. 그게 바로 밀라노 기사식당이고제가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원동력입니다.” 서울 은평구 증산동에 자리 잡은 밀라노 기사식당은 2020년 8월에 문을 열었다. 서울에서 대표적인 낙후된 지역으로, 교통편도 좋지 않은 이곳에, 그리고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대유행하던 시기에 문을 연 밀라노 기사식당은 손님이 가득 찬날보다 없는 날이 더 많았음에도 문을 열고 영업을 했다. 최근 밀라노 기사식당에서 만난 박정우 오너셰프는“호텔조리학과에서 공부할 때 작은 레스토랑을 하고 싶은 마음이 강했었다”며“2020년 12월 ‘식당 문을 닫아야 하나’라고 고민하던 중에 한 커플이 와서 음식을 맛있게 먹고 갔다. 그들이 떠난 자리에 남은 빈 그릇을 보고‘나도 이게 마지막일 수 있겠다는 생각에 사진으로 찍고 인스타그램에 글과 함께 올렸다”고 말했다. 그렇게 한 팀 한 팀 식당을 들른 사람들의 발자취와 그 사람들에 대한 글을 담담히 올린 SNS 게시물이 입소문이 나면서 사람들이 식당을 찾기 시작했다.밀라노 기사식당은 파스타 전문점이다. 토마토 파스타인 포모도르파스타와 마늘 파스타인 알리올리오파스타, 그리고 버섯크림치즈파스타 등 통상의 파스타 전문점이 취급하는 파스타를 요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의‘특이점’은 이들이 아니다. 한국의 대표음식인 전주비빔밥과 비슷한‘전주비빔파스타’, 초당순두부와 강된장을 활용한‘순두부강된장파스타’를 비롯해‘애호박불고기보나라’,‘제육보나라’,‘맑은 바질 불고기스튜’ 등 한국스러운 서양 요리가 그 주인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