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어, 치즈, 턱시도, 카오스, 삼색이.색에 따라 달리 불리는 고양이의 별명입니다.주황 고양이는 ‘치즈’, 흰색과 검정, 주황이 어우러진 삼색 고양이는 ‘삼색이’라고 불립니다.이 고양이의 털 색깔이 어떻게 조합되는지는 오랫동안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습니다.주황 고양이는 대부분 수컷, 삼색 고양이는 대부분 암컷이어서, 주황색 털이 성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만 알려져 왔습니다.이 고양이 털 색에 대한 비밀이 약 100년 만에 밝혀졌습니다.현지시간 15일 생명과학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는 사사키 히로유키 규슈대 교수가 이끄는 일본 연구팀의 논문과 그레고리 바시 스탠퍼드대 교수가 이끄는 미국 연구팀의 논문을 동시에 발간했습니다.각각의 연구에서 일본 규슈대 연구진은 고양이 58마리를,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은 43마리를 분석했습니다.두 연구진은 공통적으로 고양이의 성염색체인 X염색체에 있는 ARHGAP36 유전자에서 약 5,100개의 염기쌍이 빠져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이러한 결실(缺失, 염색체의 유전성 물질을 상실하는 것)은 치즈나 삼색이처럼 주황색 털을 가진 고양이한테서만 나타났습니다.결실이 생기면 멜라닌 색소를 조절하는 다른 유전자들의 작동 방식이 달라지고, 그 결과 어두운 털 대신 주황 빛깔을 띠는 털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연구진은 분석했습니다.정확히 어떤 유전자의 어느 부위가 이런 메커니즘에 관여하는지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또한 이 유전자가 성염색체인 X염색체에 있다는 점에서, 주황 고양이는 대부분 수컷, 삼색 고양이는 대부분 암컷인 것도 설명 가능해집니다.가령 X 염색체가 하나인 수컷 고양이한테서 이러한 결실이 생기면, 털 전체가 주황색이 됩니다.반면 암컷은 X 염색체가 두 개이기 때문에, 하나의 X 염색체에서 이러한 결실이 생기면 주황색과 다른 색이 섞이게 되는 것입니다.2개인 X 염색체 모두에서 결실이 생길 가능성이 낮은 것이 '암컷 치즈' 고양이 수가 적은 이유입니다. 사사키 히로유키 규슈대 교수 [연합뉴스] 배아 시기 세포 분열 과정에서 세포마다 무작위로 한쪽 X염색체가 비활성화되는데, 이 현상이 반복되면서 털색이 얼룩덜룩 섞인 삼색 고양이가 탄생하게 된다고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사사키 교수는 "이 유전자는 피부뿐 아니라 뇌, 호르몬 기관 등에서도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털색 외의 행동, 기질,정국불안과 미국발(發) 관세 쇼크로 국내 투자 불씨가 사그라들고 있다. 올해 1분기 총고정자본형성 금액은 외부활동이 제한됐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직후 수준으로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부진으로 경제 성장에 대한 투자의 기여도도 6년여 만에 가장 악화됐다.총고정자본형성이란 한 나라의 경제 주체들이 일정 기간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 중 소비하지 않고 투자에 사용한 금액을 말한다. 한 나라의 정부와 민간에서 집행한 유·무형 투자를 합쳐 집계되며, 건설투자와 설비투자, 지식재산생산물투자로 구성된다.◇ 1분기 국내투자 4.1% 줄어… 5년 전으로 회귀1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총고정자본형성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 감소한 147조461억원(2020년 가격 기준, 원계열)으로 집계됐다. 금액 기준으로는 2020년 1분기(143조4024억원)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며, 감소 폭은 2019년 1분기(-7.3%) 이후 가장 크다. 그래픽=정서희 경제 성장에 대한 투자의 기여도도 급감했다. 올해 1분기 총고정자본형성은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0.1%, 전년 동기 대비)을 1.2%포인트(p) 끌어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총고정자본형성의 GDP 성장 기여도는 작년 2분기(-0.3%p)부터 4분기(-0.6%p)까지 악화되다가 올해 1분기 1%p를 넘겼다. 2019년 1분기 이후 최악의 실적이다.항목별로 보면 건설투자가 급감하면서 전체 총고정자본형성 감소를 주도했다. 올해 1분기 건설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12.2% 급감한 56조6424억원으로 집계됐는데, 외환위기 시기였던 1998년 4분기(-17.7%)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GDP 성장에 대한 건설투자 기여도는 -1.5%p를 기록했다. 이 또한 1998년 4분기(-3.8%p) 이후 가장 부진한 수치다.이는 주요 선진국에서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미국은 최근 10년간 2020년(-3.0%)을 제외하고 총고정자본형성이 매년 증가했고, 일본은 202